본문 바로가기
책읽는 즐거움

내가 찾아가서 만난 한국 - 어느 일본인 역사 교사의 끝없는 이웃 나라 공부

by 푸른가람 2015. 3. 13.
728x90

히타노 요시코라는 일본인 교사가 지은 <내가 찾아가서 만난 한국> 이라는 책을 펴자마자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솔직히 얘기하자면 나는 이 책이 일본인이 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쯤 되는 줄 알았다. 아주 특별한 이력을 가진 일본인 - 한국에 관심이 아주 많은, 일본에서 일본역사를 일본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 의 눈에 보인 한국은 어떤 모습일까 하는 궁금증이 상당히 컸었다.

 

여행 에세이류를 좋아하는 내 취향에 걸맞는 책을 골랐다는 기쁨도 잠시, 책을 읽어갈수록 난감함에 빠지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그녀가 일행들과 함께 여러 차례 우리나라의 이름난 명소들을 둘러본 소회들이 이 책에도 소개되어 있긴 하다. 하지만 그 표현들은 상당히 단편적인 개인의 느낌에 치중되었고, 전문적이지 못해 아쉬움이 크게 느껴졌다.

 

한국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외국인의 눈에서 씌어졌기 때문에 개인적인 독특한 경험이 마치 전반적인 것으로 오해의 소지를 낳지는 않을까 하는 노파심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에 대해 아무 것도 알지 못하면서 잘못된 편견에 빠져 있는 대다수의 일본인들에 비한다면, 한국을 알아가기 위한 그녀의 노력 자체는 존중받아 마땅한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다섯 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1장은 직접 우리나라를 찾아오기 와서 만난 한국의 모습에 대해 얘기하기 전 그녀 자신이 자라온 환경에 대해 얘기하고 있고, 2장에서는 그녀가 한국에 대해 가졌던 선입견, 어떻게 해서 한국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한국을 이해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을 해 왔는 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어 3장에서는 2003년부터 쓴 한국 답사 여행기들이 실려 있다. 그녀가 유흥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 소개되어 있는 한국의 문화유산들을 직접 보고, 한국 사람들을 만나보면서 느낀 감정들이 담겨져 있다. 식민지 지배의 가해자였던 일본인의 입장에서 느낀 감정들은 가식없이 고스란히 노출되어 있다. 그런 이유인지 그녀의 표현들이 간혹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4장은 솔직히 조금은 따분하게 느껴진다. 일본사를 가르치는 교사로서 일하는 동안 '자기전개학습'이라는 교수기법을 기조로 해서 학생들과 어떻게 역사를 공부했는 지를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 부분은 마치 학술논문이나 보고서를 읽는 듯한 기분이 들어 곤혹스럽기도 하지만, 전후 일본인들에게 전범국가 일본의 과오와 이로 인한 주변국의 아픔을 어떻게 이해시키려 노력했는 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마지막 5장에서는 한일간의 역사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가감없이 드러내고 있다. 5장의 말미에서 그녀는 "일본인이 히로시마, 나가사키의 원폭 피해나 도쿄 대공습에 대해 이야기하고 젊은 나이에 죽은 일본군인들을 애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한국에는 일본 때문에 오키나와나 동남아시아에 끌려 가 끝내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과 그들을 기다리는 가족이 많았을 것이다. 일본인이 자기 슬픔에만 매몰돼 일본으로 인해 고생하거나 죽은 타국 사람들의 분노나 슬픔을 알지 못한다면 그 슬픔이 타국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질리 없다."고 단언하고 있다.

 

나는 그녀의 이 말이 <내가 찾아가서 만난 한국>이란 책을 펴낸 근본적인 이유이자, 해가 갈수록 극우 민족주의 성향을 보이고 있는 전후 일본인들에게 던지는 경고의 메세지라고 생각한다. 최근 일본을 방문한 메르켈 독일 총리가 일본 아베 총리를 향해 던진 쓴소리 역시 이것과 일맥상통한다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과거 일본 제국주의에 당했던 분노와 슬픔에 매몰되어 마냥 일본에게 책임만을 묻는데 그칠 일이 아니다. 물론 사죄와 반성이 전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미래지향적 관계로 한일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은 어떤가. 이 일본인 역사 교사가 그랬던 것처럼 끝없는 이웃 나라 공부를 하고 있는 한국인은 과연 얼마나 될까, 자문하게 되는 요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