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는 즐거움

사라진 건축의 그림자 - 전통건축, 그 종의 기원

by 푸른가람 2013. 7. 14.
728x90

전통 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여러 고택, 오래된 절집을 많이 찾아 다니긴 하지만 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제대로 된 교육이나 전문 서적 한번 읽어본 적이 없으니 건축학적으로 의미있는 건물을 봐도 무엇에 감탄해야 하는 지, 왜 역사적으로 주목받는 것인 지를 알 수가 없어 답답했던 것이 한두 번이 아니다.

물론 이것이 문외한일 수 밖에 없는 일반인들만의 탓은 아니다. 문화재 안내판을 봐도 마찬가지다. 하앙이니 부연이니 갈모산방이니 하는 말들은 구체적인 설명이 없으면 이해하기 어렵다. 무릇 안내문이란 잘 모르는 사람들이 쉽게 알아듣게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안내문을 보면 머리만 더 아플 뿐이다.

지금보다 더 모를 때, 나는 오래된 한옥믈 볼 때마다 지붕에 눈길이 갔다. 모양이나 크기도 제 각각이지만 건물 꼭대기에 올려져 있는 지붕의 모양에서 그 차이가 확연했다.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과 같은 정식 명칭은 그 이후에 알게 됐지만 왜 지붕들이 통일성을 갖지 않고 저렇게 다른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늘 있었다.

 


모양으로만 보자면 단순한 형태인 맞배지붕보다는 우진각지붕이나 팔작지붕이 훨씬 아름답다. 처음엔 단순히 건축학적 미감을 살리기 위해 목수들이 노고를 아끼지 않은 덕분에 저런 형태의 지붕들로 진화, 발전한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했었는데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중인 서현 교수의 '사라진 건축의 그림자'라는 책을 보면서 한수 배울 수 있게 됐다.

건축 재료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던 과거에는 근처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가 건축의 주된 재료가 될 수 밖에 없었다. 땅 덩어리가 큰 중국이나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풍부해 나무의 성장이 유리한 섬나라 일본에 비해 쓸 수 있는 목재의 양과 재질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던 한계 속에서도 높은 수준의 건축술을 발전시켜 온 목수들의 노력과 재능에 경탄할 수 밖에 없다.

책을 두 번이나 읽었지만 여전히 건축은 어렵다. 특히나 전통 건축들은 목재를 이용하는 기법들도 생소하고 실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없기 때문에 책 속의 설명들이 머릿 속에 잘 들어오진 않는다. 이제 겨우 지붕들의 생김새와 쓰임새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전통 건축의 시작이 어떤 형태였으며 일련의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을 보게 된 것인지 어렴풋하게 머리에 그려지게 됐다.

저자는 "도편수는 죽을 때 아름다움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고 썼다. 이름난 고건축물을 보며 아름다움을 얘기하는 것이 공허함으로 돌아오지 않으려면 그 건축물을 완성시키기 위한 목수의 모습까지도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건축에 모든 것을 내어놓고도 그 이름 조차 남길 수 없었던 목수들의 처지에 대한 건축가 서현의 안타까움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건축 자체의 미학에도 여전히 막눈일 수 밖에 없는 내게 부담스러운 가르침이긴 하지만 짧은 순간 머무르며 의미없는 사진 몇 장을 남기는 것보다는 훨씬 의미있는 여정이 될 것만은 충분하기에 그 길을 쫓아 가보려 한다. 지금까지와는 조금 다른 그런 여정이, 수고스러운 발걸음이 시간 낭비에 그치지 않는 답사 여행을 떠나 보련다.

전통건축이 진정 아름답다면, 숨이 막힐 만큼 아름답다면, 그리하여 그 답사 여행이 가치가 있고자 한다면, 배우고 외웠던 자연미와 곡선미의 찬사 뿐만 아니라 절실하던 목수의 모습도 배경에서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단 한 번도 역사에 이름을 남길 기회를 얻지 못했던 그들의 존재가 침묵의 건물을 통해 드러나지 않을 때, 우리 앞의 그것은 단지 나무토막의 조합에 불과하다. 그때 되뇌는 아름다움은 가식적이고 찬미는 공허하다. 마음에 각인되지 않고 스치는 노정의 여행은 시간 낭비에 지나지 않는다. - 저자의 말 중에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