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재7

책이 좀 많습니다 - 책 좋아하는 당신과 함께 읽는 서재 이야기 먹고 살기 어렵다는 보편적 아우성이 출판계만 비껴갈 리 없다. '출판계의 위기' 이야기는 이미 진부한 것이 되어 버렸다. 조만간 종이 책은 사라지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전자책이 그 자리를 채울 것이라는 전망도 여전히 우세하다. 그럼에도 하루가 멀다하고 새 책은 쏟아져 나오고 있고, 아주 소수의 애독자들은 지갑을 열어 아낌없이 책을 산다. 윤성근이 지은 란 책은 이렇듯 없는 살림에도 책을 사고, 열심히 책을 읽는 사람들의 서재에 관한 이야기다. 지금껏 국내외 저명인사의 그럴듯한 서재 구경은 이런 저런 매체를 통해 여러 번 해봤지만, 그리 눈에 띌 것도 없이 평범한 사람들이 어떻게 서재를 꾸미고, 그 곳에서 책을 읽으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해 놓았는 지를 보는 것은 쉽지 않은 경험이다. 이 책에는 스물 세.. 2015. 6. 23.
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누구에게나 딱 들어맞는 정답이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대로 사는 방법에 대해 충고하거나 좋은 길을 알려주려는 친절한 책들이 끊임없이 출간되어 독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저명한 광고인 중 한사람인 박웅현이 펴낸 '여덟 단어'라는 책 또한 이런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과거에도 그랬겠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제대로 된 나의 삶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진다. 기술과 과학문명은 하루가 다르게 진보하고, 그에 따라 우리의 삶도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현실화됨으로 인해 우리의 일상생활은 비교도 할 수 없게 편리해 진 것이 사실이지만, 삶의 질은 높아지지 않고 불행하다고 느끼는 이들이 갈수록 늘어간다. 무엇이 문제일까. 국민의 대다수가 당장.. 2014. 9. 28.
Quiet 콰이어트 -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외향적인 성격은 좋고, 내성적 성격은 나쁜 것일까. 외향적인 성격이 바람직한 것이라면 온통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로만 구성된 조직이 최고의 효율을 내고, 좋은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을까. 그래서 내성적 성격을 지닌 아이는 원만한 사회생활을 위해 외향적인 성격으로 바꾸어야만 할까. 나름 내성적 성격으로 40여년 인생을 살아오면서 가끔씩 드는 의문이었다. 물론 정답이 있는 질문도 아니요, 어느 누구가 명확하게 속시원한 대답을 해 줄 수 있는 것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외향적인 성격과 내성적인 성격을 이분법적으로 나누고, 이를 취향과 선택의 문제가 아닌 옳은 것과 나쁜 것으로 정의내리는 분위기가 우리 사회 곳곳에 팽배해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비단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이 문제는 다양성이 존중된다.. 2014. 2. 3.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 최종현 교수의 인문지리 기행 건축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필요한 것이 많다. 그 건축물이 놓여지는 땅과 땅을 품고 있는 자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반쪽자리에 그칠 수 밖에 없다. 오래 전 이땅의 어느 곳, 몇 평 되지 않은 땅에 지어진 건물 하나를 공부하기 위해 나는 이제 옛 사람의 발길을 따라 가보려 한다. 한양대 도시공학과 최종현 교수가 지은 는 말 그대로 인문지리 기행이다. 작은 건축물 하나에 담겨져 있는 인문학적 배경을 오롯이 읽어내기 위한 답사 여행에 이렇게 책을 통해서나마 동참하게 된 것이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물론 이 책 한권을 몇권 정독한다고 해서 단박에 건축물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얘기할 자신은 없다. 문외한인 나 뿐만 아니라 건축에 일가견이 있다는 전문가들도 그 점에선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하지만 .. 2014. 2. 2.
나는 죽을 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 멋지게 나이 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인생의 기술 53 책 표지에는 '멋지게 나이 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인생의 기술 53'가 있다며 독자들을 유혹한다. 난 솔직히 멋지게 나이 드는 것 까진 바라지 않는다. 이근후 교수처럼 멋진 노후의 삶을 보낼 자신은 없기 때문이다. 다만 늙어 가며 주변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손가락질을 받는 노인이 되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 정도는 한다. 또하나, 는 책에 이끌리게 된 것은 어느새 불혹의 나이를 성큼 넘어선 나 또한 자연스럽게 늙어갈 것이고 종국에는 죽음을 맞이하게 될 터인데 하루라도 조금 빨리 그 준비를 해 나가는 편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현실적 요구 때문이었는 지도 모를 일이다. 사람들은 흔히 나이듦에 대해 거부감을 보인다.아름다움의 반대가 추함인 것처럼, 선악의 대비처럼 늙고 병들어 가는 자신을 이야기하고 자세.. 2013. 9. 17.
어떻게 살 것인가 - 자유인 유시민의 '나답게 살기' 참으로 오랫만에 유시민이라는 사람과 만났다. 경주가 고향인 그를, 경주를 제2의 고향처럼 여기고 사는 나는 단 한번도 만난 적이 없지만 이렇게 가끔 책을 통해서, 혹은 TV나 신문을 통해 접하곤 한다. 젊은 시절의 그가 살았던 삶이 지금과 달랐듯 내가 유시민이라는 사람을 처음 알았던 때와 지금 그를 바라보는 나의 시선도 많이 달라진 것이 사실이다. 그 때가 몇년이었던가 정확이 기억이 나질 않지만 그날 그가 입었던 옷과 그에게 쏟아졌던 야유와 비난만큼은 확실히 기억할 수 있다. 나 자신도 신성한 민의의 전당인 국회 본 회의장에 경박스러운 옷을 입고 등원한 그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그는 다음날 조금 더 품위있는 옷으로 갈아입고 의원 선서를 하는 것으로 논란을 마무리 했지만 탐탁치 않았던.. 2013. 5. 6.
탐욕의 시대 - 누가 세계를 더 가난하게 만드는가? 우리나라에서 기아, 굶주림이란 단어는 이미 오래전 옛날 얘기가 되었다고 한다. 누구나 그렇게 느낀다. 힘겨운 보릿고개는 부모님 세대의 고난한 한 징표일 뿐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더이상 어떤 감흥을 주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우리는 과연 기아의 고통과 두려움에서 온전히 벗어났을까? 범위를 좀 더 넓혀보면 어떨까? 120억명의 인구가 먹고도 남을 만큼의 식량이 과잉 생산되는 시대라면서 지구상에서 하루에 10만명이, 무려 5초에 한명씩의 어린이가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있다는 믿기지 않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엄연한 사실이다. 당장 내가 굶지 않고, 내 주위에서 배고픔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눈에 띄지 않으니 우리는 그 문제에 굳이 관심을 갖지 않을 뿐.. 2013. 4. 23.